보도자료
-
0921.06
[동아일보] 미라셀, 건강-진단 혁신기업 국가대표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 혁신기업 국가대표 선정줄기세포 추출기 독자개발미국산 대체 ‘국산화’ 성공난치성 질환 치료 새길 열어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됐다. 미라셀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혁신기업 국가대표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등 9개 부처가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한 뒤 각종 지원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제도다. 2020년 7월 30일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결정된 기업 지원 제도다.미라셀은 복지부가 정한 선정 기준에 따라 보건 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 ‘건강·진단 혁신기업’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 세포추출 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이다. 2017년 ‘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 키트를 대체할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의 실험 결과 스마트프렙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도 동등 그 이상의 성능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미라셀의 신현순 대표는 “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이고 파킨슨병, 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밝혔다. 신 대표는 “줄기세포 시술은 자신의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치료술”이라며 “오래된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새롭게 재생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신체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혁신기술로 인정받은 스마트 엠셀2는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 기술이다. 혈액에서는 조혈모줄기세포(CD34+)를, 골수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해내는 ‘골수·혈액줄기세포 제조’를 위한 첨단 시스템이다. 세포 수는 1회에 약 29억 셀로 1시간 이내에 분리 추출이 가능하며, 세포 생존율은 무려 80∼98%에 달한다. 세포 변형 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 시스템이 특징이다. 스마트 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발광다이오드(LED)를 장착해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다. 음성 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986년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복지부 인증까지 받았다. 이 밖에 GMP, ISO13485, ISO9001, CE유럽연합통합규격 인증, 세포추출 기술 특허출원 22건 등 다양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이진한 의학전문기자▶ 기사 원문 보기
-
- 730
-
0121.06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 전념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미라셀(대표 신현순)은 1일 산업부, 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3회차에 선정됐다고 밝혔다.‘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해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해 파격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제도로 지난 2020년 7월 30일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의결하면서 시작됐다.1차 32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2회차에는 247개를 선정했고, 이번에 321개 기업이 선정됐다. 금융위원회는 2022년까지 각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모두 1000개+α를 선정할 방침이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 ‘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 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와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분당서울대병원의 실험 결과 스마트프렙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도 동등 그 이상의 성능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자동분리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신현순<사진> 대표는 “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 파킨슨, 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밝혔다.이어 “줄기세포 시술은 자신의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치료술이다”며 “오래된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새롭게 재생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신체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혁신기술로 인정받은 스마트엠셀2는 생물학적 약제물제조기술로 혈액에서는 조혈모줄기세포(CD34+)를, 골수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해내는‘골수·혈액줄기세포 제조’를 위한 첨단 시스템이다. 세포수는 1회에 약 29억셀로 1시간 이내에 분리 추출이 가능하며, 세포 생존율은 무려 80~98%에 달한다.공기접촉이 불가한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세포 변형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시스템이 특징이다. 스마트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LED를 장착,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으며 음성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완벽히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한편, 지난 1986년에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보건복지부 인증까지 받았다. 이 밖에도 GMP, ISO13485, ISO9001, CE유럽연합통합규격 인증, 세포추출 기술 특허출원 22건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기사 원문 보기
-
- 594
-
0121.06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1일 회사 측에 따르면 미라셀은 이날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3회차에 선정됐다. 이번에는 321개 기업이 선정됐다.미라셀은 복지부 선정 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의료기기·혁신형 제약 분야에서 ‘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지난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후 2017년 ‘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 또 지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 중인 스마트프렙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와 키트를 독자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신현순 대표는 “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 파킨슨,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말했다.한편, 지난 1986년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보건복지부 인증까지 받았다.김시영 기자 kimsy@asiatoday.co.kr▶기사 원문 보기
-
- 424
-
0121.06
[이데일리]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 기사 원문 보기[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미라셀(대표 신현순)은 산업부, 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3회차에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해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해 파격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제도로 지난 2020년 7월 30일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의결하면서 시작됐다. 1차 32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2회차에는 247개를 선정했고, 이번에 321개 기업이 선정됐다. 금융위원회는 2022년까지 각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모두 1,000개+α를 선정할 방침이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 ‘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와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분당서울대병원의 실험 결과 스마트프렙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도 동등 그 이상의 성능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자동분리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신현순 대표는“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 파킨슨, 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밝혔다. 이어“줄기세포 시술은 자신의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치료술이다”며 “오래된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새롭게 재생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신체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혁신기술로 인정받은 스마트엠셀2는 생물학적 약제물제조기술로 혈액에서는 조혈모줄기세포(CD34+)를, 골수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해내는‘골수·혈액줄기세포 제조’를 위한 첨단 시스템이다. 세포수는 1회에 약 29억셀로 1시간 이내에 분리 추출이 가능하며, 세포 생존율은 무려 80~98%에 달한다. 공기접촉이 불가한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세포 변형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시스템이 특징이다. 스마트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LED를 장착,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으며 음성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완벽히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한편, 지난 1986년에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보건복지부 인증까지 받았다. 이밖에도 GMP, ISO13485, ISO9001, CE유럽연합통합규격 인증, 세포추출 기술 특허출원 22건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기사 원문 보기
-
- 414
-
0121.06
[MBN] 미라셀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
미라셀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선정▶ 기사 원문 보기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습니다.미라셀(대표 신현순)은 1일 산업부, 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3회차에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해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해 파격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제도로 지난 2020년 7월 30일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의결하면서 시작됐습니다.1차 32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2회차에는 247개를 선정했고, 이번에 321개 기업이 선정됐습니다. 금융위원회는 2022년까지 각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모두 1000개+α를 선정할 방침입니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됐습니다.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습니다.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와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습니다.분당서울대병원의 실험 결과 스마트프렙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도 동등 그 이상의 성능으로 나타났습니다.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자동분리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신현순 대표는 "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 파킨슨, 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밝혔습니다.신 대표는 이어 "줄기세포 시술은 자신의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치료술이다"며 "오래된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새롭게 재생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신체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혁신기술로 인정받은 스마트엠셀2는 생물학적 약제물제조기술로 혈액에서는 조혈모줄기세포(CD34+)를, 골수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해내는 '골수·혈액줄기세포 제조'를 위한 첨단 시스템입니다. 세포수는 1회에 약 29억셀로 1시간 이내에 분리 추출이 가능하며, 세포 생존율은 무려 80~98%에 달합니다. 공기접촉이 불가한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세포 변형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시스템이 특징입니다.스마트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LED를 장착,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으며 음성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완벽히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한편, 지난 1986년에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보건복지부 인증까지 받았습니다. 이밖에도 GMP, ISO13485, ISO9001, CE유럽연합통합규격 인증, 세포추출 기술 특허출원 22건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
- 408
-
0121.06
[경향신문]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 혁신기업 뽑혔다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 혁신기업 뽑혔다▶ 기사 원문보기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대표 신현순)이 정부가 선정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고 1일 회사 측이 밝혔다.‘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해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한다. 파격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제도이다. 1차 32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2회차에는 247개사를 선정했고, 이번에 3차로 321개 기업이 선정됐다.미라셀, 건강·진단 분야 혁신기업 뽑혔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이 회사는 2009년 미국 하버드대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이 기술을 토대로 스마트 엠셀2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자동분리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공기접촉이 불가한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세포 변형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시스템이 특징이다. 스마트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LED를 장착,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으며 음성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제대로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사 원문보기
-
- 277
-
0121.06
미라셀, 건강·진단분야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분야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 기사 원문 보기스마트엠셀2, 골수·혈액줄기세포 첨단시스템 국산화 성공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 미라셀(대표 신현순)은 1일 산업부· 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3회차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 중기부,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해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해 파격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제도로 지난 2020년 7월 30일 제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의결하면서 시작됐다.ⓒ의협신문1차 32개사 선정을 시작으로 2회차에는 247개를 선정했고, 이번에 321개 기업이 선정됐다. 금융위원회는 2022년까지 각 산업별 대표 혁신기업을 모두 1,000개+α를 선정할 방침이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하나로 선정됐다. 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 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와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의 실험 결과 스마트프렙과 성능을 비교했을 때도 동등 그 이상의 성능으로 나타났다.스마트 엠셀2는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 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농축시켜 자동분리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해주는 장비로 현재 국내외 주요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혁신기술로 인정받은 스마트엠셀2는 생물학적 약제물제조기술로 혈액에서는 조혈모줄기세포(CD34+)를, 골수에서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해내는'골수·혈액줄기세포 제조'를 위한 첨단 시스템이다. 세포수는 1회에 약 29억셀로 1시간 이내에 분리 추출이 가능하며, 세포 생존율은 무려 80~98%에 달한다. 공기접촉이 불가한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세포 변형가능성을 차단시킨 자동화시스템이 특징이다. 스마트엠셀2는 세포의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LED를 장착,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전환시켰으며 음성지원까지 완비해 바이오헬스케어 첨단의료기기의 조건을 완벽히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신 대표는 "줄기세포 시술은 자신의 신체에서 뽑아낸 골수혈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시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한 뒤 다시 신체에 주입하는 치료술이다"며 "오래된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새롭게 재생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신체 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기사 원문 보기
-
- 241
-
0121.06
줄기세포기업 미라셀 '혁신기업 국가대표' 선정
줄기세포기업 미라셀 '혁신기업 국가대표' 선정▲ 줄기세포 기업 미라셀은 정부의 '혁신기업 국가대표 1천' 프로젝트 기업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혁신·기술성을 갖춘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가 총 1천곳을 선정해 금융지원을 제공한다. 미라셀은 줄기세포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제제 연구개발(R&D) 기업이다. (서울=연합뉴스)▶기사 원문보기
-
- 232
-
0121.06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
미라셀, 건강·진단 분야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의학신문·일간보사=김원준 기자] 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이 정부가 선정하는‘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됐다.미라셀(대표 신현순)은 1일 산업부, 복지부 등 9개 정부부처의 평가를 바탕으로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혁신기업 국가대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미라셀은 보건복지부가 정한 선정기준에 따라 보건신기술, 의료기기, 혁신형 제약 분야에서‘건강·진단 혁신 기업’중 한 곳으로 선정된 것.미라셀은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 세포추출기술을 도입해 출범한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2017년‘최소 조작 줄기세포 분리 증폭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기술을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했다.특히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미국 하버드대의대 면역연구소에서 개발해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는 스마트프렙(SmartPReP2)과 키트를 대체하는 스마트 엠셀2(SMART M-CELL2)와 키트를 독자 개발해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신현순 대표는“국가대표 혁신기업 선정은 큰 의미가 있다”며“줄기세포를 이용해 희귀난치성 질병은 물론 파킨슨, 난치성 만성 신부전증 등을 과학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활짝 열렸다”고 밝혔다.한편, 지난 1986년에 의료산업을 시작한 미라셀은 2007년부터 줄기세포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 약제물 제조기술은 급성심근경색, 중증하지허혈, 연골결손 등의 질병 치료를 돕는 신의료기술로 보건복지부 인증까지 받았다. 이밖에 GMP, ISO13485, ISO9001, CE유럽연합통합규격 인증, 세포추출 기술 특허출원 22건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기사원문보기
-
- 212
-
2921.03
미라셀, ‘2021 셀피아 글로벌 플랫폼 아카데미’ 개최
[미라셀, ‘2021 셀피아 글로벌 플랫폼 아카데미’ 개최]27일 ‘안면스캐폴더와 줄기세포 리프팅’ 주제로 강연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줄기세포 전문기업 미라셀(대표 신현순)가 지난 27일 ‘안면스캐폴더와 줄기세포 리프팅’을 주제로 ‘2021 CGP아카데미’를 개최했다.박은수 성형외과 전문의(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 과장)가 강사로 나섰으며, 안면스캐폴드와 줄기세포 리프팅을 주제로 이론교육 후, 60여 분간 혈액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라이브시술 및 실습교육, 질의응답 순으로 이어졌다. 대중적인 주제로 지난 회차에 많은 관심 속에 진행됐던 ‘줄기세포를 이용한 탈모치료’에 이어, 이번 ‘안면스캐폴더와 줄기세포 리프팅’ 강의 역시 성공적이라는 평을 받았다. 줄기세포 실리프팅은 피부의 탄력도와 근육량을 고려해 미용용 PDO-Thread를 삽입 후, 줄기세포 이식을 병행한다. 줄기세포가 근육과 피부층의 탄력을 강화시켜 노화된 피부가 젊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카데미 참석자의 호응 또한 뜨거웠다. 셀피아 글로벌 플랫폼 아카데미(Cellpia Global Platform/ 이하 CGP)는 줄기세포 재생의학 관련 기술과 지식을 공유, 전문적인 줄기세포 치료 및 연구 뿐 아니라 다양한 질병 치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2019년도에 설립해 운영 중이다. CGP아카데미는 줄기세포교육 대표의료기관인 ‘셀피아의원’을 비롯해 ‘글로벌 플랫폼 멤버십’에 가입돼 있는 여러 병의원들과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줄기세포 의료기술을 논의하는 자리다. ‘셀피아 글로벌 플랫폼’이란 국내외 병원에 보다 안전한 줄기세포 재생의학 치료를 위해 교육, 기술이전, 의료장비 세팅과 마케팅까지 제공하는 체계적인 전문 메디컬 멤버십을 뜻한다. 신현순 대표는 “셀피아 글로벌 플랫폼 아카데미를 통해, 첨단 의료기기와 의료기술 공유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안전한 줄기세포 치료의 전문화를 위해 재생의학 의료기술 성장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기사원문보기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16006628988240&mediaCodeNo=257&OutLnkChk=Y
-
- 493